PinnedPublished in민현기(Min, Hyun Gi)’s Blog대형 Agile 조직을 위한 SAFe®의 역할 정리대형 조직의 Product라면 SAFe®와 같은 Scaled Agile 방식으로 Business 및 IT간의 Align된 개발/배포가 필요합니다.Apr 26, 2023Apr 26, 2023
PinnedPublished in민현기(Min, Hyun Gi)’s BlogScrum (스크럼) 이해하기Scrum은 제품 개발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프로젝트 관리에도 사용 가능한 프로세스 프레임워크입니다.Jul 16, 2023Jul 16, 2023
Published in민현기(Min, Hyun Gi)’s BlogProduct Manager의 역량 및 성장Product manager(제품 관리자)의 역량을 소개합니다. Product Execution(제품 실행력), Customer Insight(고객 공감력), Product Strategy(제품 전략), Influencing People(조직…Jun 4, 2023Jun 4, 2023
Published in민현기(Min, Hyun Gi)’s BlogSAFe®의 ART 를 구성하는 4종류 팀빠른 업무 플로우를 만드는 조직설계를 위한 Team Topologies(팀 토폴로지)르 소개합니다. 기본 팀은 Stream-aligned team, Enabling team, Complicated subsystem team,Platform teamFeb 22, 2023Feb 22, 2023
Published inDT Evangelist 기술 블로그[Agile] 대형 Agile 조직을 위한 SAFe®의 역할 정리대형 조직의 Product라면 SAFe®와 같은 Scaled Agile 방식으로 Business 및 IT간의 Align된 개발/배포가 필요합니다.Nov 9, 2022Nov 9, 2022
Scrum Event시 효율적 시간 활용 방법Scrum을 수행하다보면 Event 시간이 길어지고, 점점 시간이 낭비된다고 생각하는 팀원이 생기기 시작합니다.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고려사항을 정리해보았습니다.Aug 6, 2022Aug 6, 2022
Published in민현기(Min, Hyun Gi)’s BlogGoal, Objective, Output, and Outcome유사한 용어인 Goal, Objective, Output, Outcome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적은 비용으로 많은 Output을 내는 것을 효율적(efficient)이라고 하며, 적은 비용으로 큰 Outcome을 내는 것을…Apr 23, 2022Apr 23, 2022
Published in민현기(Min, Hyun Gi)’s BlogDefinition of Ready(DoR), Done(DoD), Acceptance Criteria 정리Definition of Ready(DoR), Definition of Done(DoR), Backlog Refinement, Acceptance Criteria(A/C)를 정리해 보았습니다.Feb 18, 2022Feb 18, 2022
Published in민현기(Min, Hyun Gi)’s BlogTuckman의 Team과 Group 개발 모델1965년 Bruce Tuckman은 Developmental sequence in small groups 논문을 통해 팀/조직이 발전하고 성장하기 위해서는 네 가지 단계(형성기, 격동기, 규범기, 성과기)를 정의하였습니다. Agile 방식의 빠른…Aug 10, 2021Aug 10, 2021
Published in민현기(Min, Hyun Gi)’s BlogProduct Manager를 위한 도구Product Management Solution의 Landscape입니다. 도구도 중요하지만 PM의 역할 섹터도 보시면 좋을것 같습니다.May 21, 2021May 21, 2021
Published inDT Evangelist 기술 블로그MVP와 PoC, Prototype, Pilot 차이Agile, Lean Startup의 MVP(최소 실행가능 제품, Minimum Viable Product를 이해하기 위해 PoC(개념증명), Prototype(프로토타입), Pilot(시범적용)과 비교Apr 3, 20211Apr 3, 20211
Published inDT Evangelist 기술 블로그Agile 로 BM혁신 개발 여정기획자(현업)들과 함께 Design Thing하고, Agile로 BM 혁신 과제 프로젝트를 구체화한 여정 소개Apr 3, 2021Apr 3, 2021
Published in민현기(Min, Hyun Gi)’s BlogKano Model : 제한된 리소스로 서비스 만들기 전략제품 개발에 관련된 상품기획이론인 카노모델(Kano Model)에 대하여 소개하겠습니다. 사용자의 감정반응(싫음~즐거움)을 기반으로 제한된 Resource로 서비스 만들때 우선순위 전략으로 활용이 가능Jan 15, 2021Jan 15, 2021
Published in민현기(Min, Hyun Gi)’s Blog성공한 Product Owner의 전략적 태도성공적인 솔루션 개발을 위한 Product owner는 전략적 사고 방식이 있어야 합니다.Jan 11, 2021Jan 11, 2021
Published in민현기(Min, Hyun Gi)’s Blog협업도구 ClickUp 소개WBS와 Gantt 차트 관리가 아쉬워서 온라인 Gantt 도구를 찾았는데 ClickUp이 Gantt차트만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Agile 등 다양한 통합 관리를 제공하여 소개합니다.Jan 10, 2021Jan 10, 2021
Published in민현기(Min, Hyun Gi)’s BlogMockup, Prototyping 도구 소개제가 사용해 본 Prototyping 도구 3가지(PowerMockup, Oven, Figma)를 소개하겠습니다.Dec 10, 2020Dec 10, 2020
Published inDT Evangelist 기술 블로그Scrum 2020 vs. 2017 비교2020년 11월18일 Ken Schwaber와 Jeff Sutherland는 스크럼 가이드(Scrum Guide) 2017을 업데이트를 했습니다. Scrum Guide 2020은 규범적 언어를 제거하거나 완화하여 스크럼을 최소한의 충분한…Nov 20, 2020Nov 20, 2020
Published in민현기(Min, Hyun Gi)’s Blog스크럼(Scrum) 2020과 2017 비교2020년 11월18일 Ken Schwaber와 Jeff Sutherland는 스크럼 가이드(Scrum Guide) 2017을 업데이트를 했습니다. Scrum Guide 2020은 규범적 언어를 제거하거나 완화하여 스크럼을 최소한의 충분한…Nov 20, 2020Nov 20, 2020
Published in민현기(Min, Hyun Gi)’s BlogMVP와 PoC, Prototype, Pilot 차이Agile, Lean Startup의 MVP(최소 실행가능 제품, Minimum Viable Product를 이해하기 위해 PoC(개념증명), Prototype(프로토타입), Pilot(시범적용)과 비교해보겠습니다. 이들 모두는 검증이라는 공통점이…Nov 11, 2020Nov 11, 2020